지난 시간에는 입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명상 삼매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 입정이라 했다. 그러면 어떻게 입정에 들어갈 수 있을까? 당연히 수련을 해야 한다. 이번 시간에는 입정에 도달할 수 있는 훈련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입정 훈련
입정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주의 집중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모두 물리쳐야 한다. 그런 방해 요인을 그대로 두고서는 입정에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입정에 들어가는 명상 훈련은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체계적으로 훈련해야 한다.
훈련 단계
1단계 : 수련 자세
2단계 : 호흡 조절
3단계 : 이완 조절
4단계 : 정신 집중
5단계 : 명상
6단계 : 삼매(입정)
이제 차례대로 각 훈련 단계에 대해 알아보자.
수련 자세
수련 자세는 명상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가장 기본적이라 함은 이것 없이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는 말이다.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오랜 시간 명상에 집중하기 곤란하다. 그래서 인도의 구도자들은 자세를 바르게 하기 위해 요가라는 수련법을 개발했던 것이다.
요가와 소림권법
요가는 지금은 건강을 위한 체조 정도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 출발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자세 수련이었다. 이것은 마치 소림권법이 참선 수련을 오래 하기 위해 개발된 것과 같다. 저 옛날 달마대사는 수도승들이 참선을 오래 하게 하기 위해 그들의 신체를 건강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만들어진 운동법이 역근경이다. 몸의 관절을 꺾음으로 해서 신체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역근경은 한 동작 한 동작하는 것인데 이것이 발전하여 소림 무술이 된 것으로 안다.
자세의 중요성
명상도 마찬가지다. 오랜 시간 명상을 하기 위해서는 한 자세로 오래 버텨야 한다. 그런데 자세가 불안정하면 오랜 시간 한 자세로 버티기가 힘들다. 그래서 자세를 바르게 가져야 하는 것이다. 즉 바른 자세는 명상에 있어 필수 요소이다.
명상을 순조롭게 하려면 가능한 아주 편안한 제세를 자기고 정신적인 자극을 받지 않게 해야 한다. 훈련이 숙달되어 높은 의식 상태에 이르게 되면 한 시간이든 두 시간이든 일종의 황홀경의 쾌적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마라톤도 비슷하다. 2시간이 넘게 뛴다는 것은 보통 사람에겐 엄청난 고통이 따르는 일이다. 그런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마라톤 주자는 오히려 일종의 쾌락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마라톤을 하면 끊지를 못한다고 한다.
명상도 마찬가지다. 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한다는 것은 분명 고통이다. 그러나 자세를 바르게 하여 오랜 시간 명상에 들어가면 정신적 황홀경을 맛본다고 한다.
좋은 명상 자세란?
이처럼 명상을 위해 편안한 좌법 몇 가지가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온다. 대표적인 좌법이 결가부좌이다. 그러나 꼭 이런 좌법을 사용해야만 깊은 명상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자신이 명상을 하는 데 편안한 자세를 취하면 되는 것이다. 의자에 앉아도 되고 바닥에 앉아도 된다. 다만 누운 자세는 초심자의 경우 잠에 빠질 수 있으니 되도록 피하는 게 좋다.

편한 자세를 취해도 시간이 지나면 온 몸의 여기저기가 뻐근해진다. 그러나 계속 훈련을 하다 보면 장시간 앉아 있어도 고통을 느끼지 않게 된다.
의자에 앉을 경우는 등받이에 등을 기대로 등판을 곧게 펴 준다. 눈은 정면을 바라본다. 손바닥을 뒤집어 위로해서 양 손등을 다리 허벅지 위에 가볍게 올려놓으면 된다.
이때 자세가 편안한 지 느껴보고 편하지 않다면 조금씩 변화를 주어 자신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찾도록 한다. 가장 무리가 없는 자세를 찾을 때까지 자세를 고쳐보는 것이 좋다.
이상으로 명상에 들어가기 위한 자세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부터는 나머지 훈련 단계를 차례로 보도록 한다.
입정
입정이란? 앞 시간에는 생기조식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입정에 대해 알아보자. 입정이란 무념무상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마음의 상태를 말한다. 입정이란 넓은 의미에서 이른
mablri.tistory.com
2022.01.06 - [분류 전체보기] - 생기조식법 훈련
생기조식법 훈련
생기조식법 훈련이란? 생기조식법 훈련이란 몸 안의 탁한 기를 제거하는 호흡법을 말한다. 이 호흡법은 우리 몸의 대사 기능을 촉진시키는 에너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보통 이 에너지를 기라고
mablri.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