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키우기

회복탄력성이란 책을 읽었다.

이 책은 살아가면서 고난을 만났을 때 그 고난을 이기는 힘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살면서 고난을 만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어릴 적에야 고난을 만날 일이 별로 없겠지만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대부분의 경우 고난을 만나게 된다. 이럴 때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 그런 회복탄력성은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설명해 주는 책이다.

 

회복탄력성
위즈덤 하우스 출간

목차

    회복탄력성이란

    회복탄력성이란 어떤 말일까? 회복탄력성이란 문제를 만나 실패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능력을 말한다. 그래서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발전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회복탄력성이 낮으면 문제를 만났을 때 쉬 좌절하고 실패하게 되면 다시 일어설 힘을 잃게 된다.

     

    그런 만큼 회복탄력성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능력이라 하겠다. 이는 단순히 의지를 강하게 하라는 식의 정신력을 강조하는 말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 사람의 삶에서 마주치게 되는 다양한 요인들이 그 사람의 회복탄력성을 만든다. 충분한 사랑과 지지를 받으며 자란 아이들의 경우 그렇지 못한 불우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응석받이로 자란 것이 아니라 자기 존중감을 갖도록 격려받으며 자란 아이들의 회복탄력성이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높은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요인에 의해서만 회복탄력성이 조성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불우하게 자란 사람들은 무조건 회복탄력성이 낮아야 할 것이고 그러한 사람은 모두 인생의 실패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외부 요인도 중요하지만 내부 요인이 결정적임을 책에서는 알려주고 있다. 지지받는 환경에서 자라면 좋지만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 자랐다면, 자기 스스로 회복탄력성을 만들고 더 강해지도록 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방법을 이야기하기 전에 회복탄력성의 예로 책에서 든 사례를 먼저 이야기해본다.

     

    회복탄력성 사례

    책에서 이야기하는 회복탄력성 사례를 하나 보도록 하자.

     

    남미의 가난한 마을. 마약과 갱단이 거리마다 넘치는, 그야말로 희망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마을이 있었다. 이 마을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가난과 환경의 영향으로 자라면서 결국 그런 조직에 들어가게 되고 불행한 삶을 살게 된다. 이 아이들의 미래를 밝게 해주는 외적 요인이 전혀 보이지 않는 그런 곳이었다.

     

    그런데 어느 학자가 이 마을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마을에서 자라는 아이들을 추적 조사한 것이다. 그러자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희망이라곤 찾기 힘든 마을에서 자란 아이들 중에는 성인이 되어 대학에 진학하고, 사회인으로서 성공하는 아이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 비결이 무엇인지 궁금했던 학자는 그 마을에서 자라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을 찾아가서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렇게 하여 그 학자는 어떤 요인이 그들로 하여금 환경을 극복하고 성공하게 했는지 밝혀 낼 수 있었다.

     

    학자와 그의 연구진이 밝혀낸 비결은 바로 그 아이들을 믿어주는 누군가가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아이들을 믿어 주는 사람이 누군지는 상관없었다.

     

    아버지가 될 수도 있고, 할아버지, 할머니 심지어 이웃집 아저씨가 될 수도 있었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어떤 행동을 하건 아이를 믿어주는 사람들이 한 두 명이 꼭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신뢰

     

    아이를 믿어 주는 그 믿음이 아이로 하여금 불우한 환경을 극복하고 문제를 이겨내는 힘을 갖게 해 준 것이었다. 자기를 믿어 주는 사람 앞에서 무너질 수 없었던 것이다. 상대의 그런 믿음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서라도 힘을 더 낼 수 있었고, 한편으로는 자기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받으며 자란 아이들은 자존감이 높았기 때문에 환경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군가를 믿어준다는 것은 이렇게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의 이러한 무조건적인 지지는 더욱 중요하다. 일차적으로 만나는 사람은 가족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부모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할아버지나 이웃집 사람도 좋지만 부모가 그러한 지지를 아이에게 줄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이 책의 중요한 점은 그러한 무조건적인 지지의 중요성을 알려준 데 있다.

     

    자기를 무조건적으로 믿어주고 지지하는 사람의 말이라면 일단 믿게 된다. 자기를 나무라더라도 그 의도의 순수성을 믿기에 그러한 꾸중을 달게 받을 것이고, 그렇기에 자기를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바탕이 아이들을 불우한 환경에서도 성공자로 일어서게 만든 것이었다.

     

    그럼 그러한 무조건적인 지지자가 없는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은 어떻게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을까? 지지자가 없는 환경에서 자랐다고 해도 회복탄력성을 스스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회복탄력성 높이는 방법

    책에서는 스스로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알려주고 있다. 비록 자기를 지지해 주는 사람이 없었다 해도 스스로 자기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방법은 무엇일까?

     

    책에서 밝히고 있는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은 1)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것, 2) 운동을 할 것, 3) 종교를 가질 것. 이 세 가지다.

     

    감사하는 마음

    감사하는 마음이 없다면 아무리 좋은 환경에 있다 해도 어긋난 인생을 살아가게 된다. 항상 불만으로 가득 찬 사람은 사회생활을 제대로 하기 힘들 것이다. 만약 고난이 닥친다면 자기 인생을 비관하고 그 고난에 매몰되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감사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 고난을 받아들이게 된다. 받아들이면 그 안에서 새로운 방법을 찾게 된다. 그래서 감사하는 마음이 있어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

     

    운동

    운동은 신체를 강건하게 한다. 만약 신체가 허약해서 조금만 일해도 피곤을 느끼곤 한다면 활기찬 삶을 살기 힘들 것이다. 허약한 신체와 부실한 건강으로 인해 자주 우울을 느끼게 된다. 이런 사람도 고난을 만나면 이를 극복하기 힘들다.

     

    그러나 적당한 운동으로 강인한 신체를 갖게 된다면 삶에 활력이 있게 되고 이는 곧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게 된다. 그래서 적적한 운동으로 신체를 건강하게 하면 회복탄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종교

    종교의 힘은 매우 크다. 요즘은 무신론의 세계에 살고 있으나 그래도 종교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아무리 니체가 신은 죽었다고 외치고 리처드 도킨스 박사가 만들어진 신을 주장해도 교회로, 사찰로 찾아가는 사람들은 끊이지 않고 있다. 왜일까?

     

    종교는 마음에 위안을 주기 때문이다. 절대자에 의지한다는 것은 어린아이가 부모의 품 안에 있는 안정감과 위로를 준다. 마음이 안정이 되니 회복탄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고난을 만나서 좌절하는 것은 결국 마음의 안정을 잃기 때문이다.

     

    종교를 믿으면 절대자를 의지하기에 마음의 안정을 얻기가 수월하다. 비록 고난이 끝나지 않는다 해도 피안의 세계를 바라보면 그 고난을 견디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로마 시대 박해를 받아 맹수의 밥으로 던져진 초대 기독교인들을 보자. 그들은 죽음이 눈앞에 있는데도 평온한 마음으로 찬송을 하며 죽어 갔다. 그러나 힘은 종교가 아니면 얻을 수 없는 마음의 평안인 것이다.

     

    때문에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은 당연하다. 이 세 가지가 책에서 말하고 있는 회복탄력성 높이는 방법이다.

     

    결론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고난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우리 중 누구도 완벽한 사람은 없다. 그런데 누구는 고난을 극복하고, 누구는 좌절한다. 고난을 만나더라도 극복하는 힘을 가지고 살아가는 게 좋지 않을까?

     

    이제부터라도 감사하는 마음, 운동, 종교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실천을 하자. 그렇게 회복탄력성을 스스로 높여 좀 더 성공적인 인생을 살자.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먼자들의 도시, 인간의 연약함  (0) 2022.04.10
    칼 세이건 코스모스 우주와 인생에 대해  (0) 2022.04.07
    판도라의 상자  (0) 2022.03.19
    프로메테우스 인간을 사랑한 신  (0) 2022.03.13
    다이아나 신전  (0) 2022.03.09